[전문가칼럼] 강산벨트(江山Belt) : 先 Lining 後 Zoning
[전문가칼럼] 강산벨트(江山Belt) : 先 Lining 後 Zoning
  • 이양주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승인 2018.07.30 12: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양주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곤충들은 잎을 갉아먹을 때 잎맥은 먹지 않는다. 다시 잎이 나도록하기 위함이다.
우리 선조들이 만든 대동여지도와 해동여지도에는 산줄기, 강줄기, 길 그리고 객사 정도로 표현했다. 지도에 맥이 표현돼 생활사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배고픔을 구하는 고구마는 줄기만 심으면 저절로 잘 자란다. 줄기세포는 아픈 인류에게 희망이 되고 있다.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든 맥(脈)을 잘 읽어야 한다.
좋은 집안을 뼈대 있는 집안이라고 한다. 사람은 피가 잘 통해야 건강하다. 점과 면도 중요하지만 선도 중요하다. 우리 강산의 강줄기와 산줄기는 기와 에너지가 흐르는 건강하고 아름다운 국토의 맥이다.
산줄기는 산의 정상부를 연결하는 선이다. 산맥과 산줄기는 다르다. 우리나라 산맥은 일본 지리학자 고토분지로가 1901~1902년 2년간 조사를 해서 만든 것이다(조선산악론, 1903).
산맥의 형성원인 즉, 땅밑 구조에 초점을 두었다. 조선의 신경준은 산경표를 만들어 우리나라 산줄기를 만들었다. 백두대간이 할아버지, 정간은 작은 할아버지 정맥은 아버지, 지맥은 나 이런 식으로 족보론에 의해 정립했다. 자연을 사회학으로 해석해 정리한 참으로 흥미롭고 위대하다.

▲ 국토연구원(2005)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 연구를 바탕으로 재작성.

통일신라후기 도선의 옥룡기에는 ‘백두에서 일어나 지리에 이른다’고 국토를 한 그루에 나무에 비유했다.
조선 1763년 이익의 성호사설에는 백두산이 국토의 조종(祖宗)이라 하고 백두대간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1913년 산경표에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우리나라 산줄기 체계가 정립됐다. 기본 이론은 산자분수령-산이 곧 물을 가르다-이다. 이 소중한 책이 인사동 고서점에서 우연히 발견됐다고 한다.
우리 선조들은 아름다운 이 국토를 금수강산이라고 했다. 자연 상태에서 산줄기와 물줄기는 교차하지 않으며 산줄기와 산줄기 사이가 자연스럽게 강 유역이 된다.
이것은 통합유역관리 개념에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산줄기를 보면 우리 국토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산줄기의 의미를 이해하면 각종 국토계획의 수립에 좋은 기초가 된다.
백두대간을 알면 한반도의 윤곽을, 13정맥을 알면 국토의 큰 권역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한북정맥과 한남정맥 사이가 바로 한강유역이 된다. 특히 산줄기는 녹지축의 근간이 되며 그 위상도 알 수 있다.
우리 국토가 금수강산인데 우리는 왜 회색도시에 살지? 독일 사람들은 국토의 80%를 이용한다고 한다. 우리는 산지만 해도 64%이다. 그런데 왜 독일 사람들은 녹색 속에 살고 우리는 회색도시에 살까, 참으로 신기한 현상이다.
녹색 속에 살려면 개발지역이라는 물고기를 녹색 그물망으로 잡아야 한다. 그래서 녹색의 망(네트워크)이 중요하다. 그물망은 Lining과 Lining이다. 그런데 우리의 국토이용의 근간은 Zoning이다.
풍수가 무엇인가? 장풍득수이다. 배산임수도 다 같은 말이다.
산줄기를 보고, 바람을 막고, 물을 얻어, 집을 짓고 농사를 짓고 산다. 울타리를 치고 생산할 곳과 쉴 곳을 정해 만드는 서양과는 다르게 우리는 자연을 살펴 그 속에 삶터를 앉힌 것이다.
이런 고단수의 우리 선조들의 지혜를 읽지 못한 것이 참으로 안타깝다. 표현이 정확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여기서 말하는 Lining의 뜻은 강줄기와 산줄기를 잘 살피자는 것이다.
일제가 우리의 정기를 말살하기 위해 산정에 대못을 박았다고 난리를 쳤다. 그런데 우리는 스스로 정맥에다 도시를 지었고 고속도로 교차로를 얹었고 그것도 모자로 아예 물이 산을 넘게 했다.
山自分水嶺? 김포! 지금 육지인가?
지표수만 마시고 사는 국가가 얼마나 되나? 우리는 국토로부터 참으로 큰 복을 받은 민족이다. 강줄기 산줄기가 뚜렷하고 잘 발달돼 있다.
줄기를 살리고 그 중에서 중요한 것은 또 면(zone)으로 확대하고 필요한 개발지역 역시도 줄기 사이에 면과 선으로 잘 배치하면 얼마든지 녹색 속에 살 수 있다. 회복탄력성이 좋아지는 것은 더 말할 필요도 없겠다.

▲ 경기연구원 이양주 제작, 2015.

정리 = 한국건설신문 이오주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